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총정리|전통시장·소상공인 가맹점 어디까지 가능할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어디에서 쓸 수 있을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이름처럼 온누리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입니다.
기존 지류 상품권과 동일하게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스마트폰 앱을 통한 QR 결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훨씬 간편합니다.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내가 사는 동네 어디서 쓸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가장 큽니다.
이번 글에서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사용할 수 없는 곳까지 확실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전국 전통시장과 상점가에서 사용 가능

가장 기본적인 사용처는 전국 전통시장입니다.
서울부터 지방 소도시까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된 상인회 점포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서울: 광장시장, 통인시장, 망원시장, 남대문시장, 경동시장

  • 부산: 국제시장, 자갈치시장, 부전시장, 부평깡통시장

  • 대구: 서문시장, 칠성시장, 안지랑 곱창골목

  • 광주: 양동시장, 대인시장

  • 대전: 중앙시장, 태평시장

  • 기타 지역: 전주 남부시장, 청주 육거리시장, 울산 중앙시장, 순천 아랫장 등

대부분의 재래시장에서는 이미 디지털 결제가 보편화되어 있어, QR코드 스티커만 확인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매장에서도 사용 가능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꼭 전통시장만이 아니라, 제로페이 가맹 소상공인 점포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동네 식당, 분식집

  • 미용실, 이·미용업소

  • 세탁소

  • 자동차 정비소

  • 동네 카페(프랜차이즈 직영점 제외)

즉, 대기업 프랜차이즈가 아닌 개인사업자 형태의 점포라면 사용 가능성이 큽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매장 입구에 붙은 “제로페이·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스티커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사용 불가능한 업종

반대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 사용 불가능한 업종도 명확히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상품권 본래 목적이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보호이기 때문입니다.

  • 대형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 백화점 (롯데, 현대, 신세계 등)

  • 기업형 슈퍼마켓 (이마트 에브리데이, 롯데슈퍼 등)

  • 온라인 쇼핑몰 (쿠팡, G마켓, 11번가, 마켓컬리 등)

  • 유흥업소, 레저 관련 업종

  • 대부분의 프랜차이즈 직영점 (스타벅스, 맥도날드, 파리바게뜨 직영 등)

따라서 상품권을 구매하기 전에 “내가 평소 가는 가게가 온누리 가맹점인지”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가맹점 확인 방법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제로페이 가맹점 검색 서비스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제로페이 홈페이지 접속
    → 제로페이 가맹점 찾기

  2. 지역, 업종 선택

  3. “온누리상품권 사용 가능” 옵션 선택 후 검색

또는, 앱(비플제로페이·체크페이·머니트리 등) 내에서도 가맹점을 실시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우리 동네에서 사용 가능한 가맹점 리스트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 시 유의사항

  1. 부분 결제 가능

    • 예: 2만 원 식사 시, 1만 원은 온누리상품권, 나머지는 현금이나 카드 결제 가능

  2. 잔액 관리

    • 상품권은 선불 충전식이라서 잔액이 앱 지갑에 그대로 남습니다.

    • 여러 번 나누어 쓸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3. 유효기간

    • 디지털 상품권의 유효기간은 5년으로 넉넉합니다.

    • 다만 만료 후에는 사용 불가하므로 잔액 확인을 주기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 속 활용 예시

  • 시장 장보기: 과일, 채소, 고기, 생선 등 대부분 품목 구매 가능

  • 외식: 시장 내 분식집, 식당, 국밥집 등에서 간편하게 결제

  • 생활서비스: 동네 세탁소, 수선집, 이·미용실

  • 지역축제: 일부 지자체 축제 부스에서도 온누리상품권 결제 가능

이처럼 활용 범위가 넓기 때문에, 생활비 절약과 동시에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도 큽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편의점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A. 일부 소규모 편의점은 가능하지만, 대기업 편의점 체인(세븐일레븐, CU, GS25)은 불가능합니다.

Q2. 음식 배달 앱에서도 사용 가능한가요?
A. 불가능합니다. 현재는 배달앱과 연동되지 않고,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Q3. 개인 카페에서도 쓸 수 있나요?
A. 네. 다만 프랜차이즈 직영점은 불가하고, 개인이 운영하는 카페이면서 제로페이 가맹점이어야 가능합니다.

Q4. 사용 후 환불도 가능한가요?
A. 네. 권면금액의 60% 이상을 사용하면 환불 신청이 가능합니다.

Q5. 온라인 쇼핑몰 연계 계획은 없나요?
A. 현재 기준으로는 전통시장·소상공인 지원 목적이기 때문에 온라인 사용은 불가능합니다. 다만 일부 지역몰과 연계하는 시범사업은 진행 중입니다.

가맹점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뿐만 아니라 소상공인 매장까지 활용 범위가 넓은 착한 소비 수단입니다. 다만 대형마트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구매 전에 반드시 가맹점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생활비 절약 +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제도이니, 2025년에는 우리 동네 전통시장에서 꼭 한 번 활용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구매방법 A to Z|은행 앱·제로페이로 5분 만에 끝내기

댓글 쓰기

0 댓글

신고하기

2026년 공무원 봉급 3.5% 인상 확정|직급·호봉별 변화와 봉급표 정리

서울시 청년 금융 타임머신 서비스|5년 뒤 내 자산·소득 예측 방법과 이용처 정리

스타벅스 9월 이벤트 총정리|백 택 세트부터 1,500만 버디 페스티벌까지